주식투자 기초 가이드: 거래소, 거래시간, 기본 개념까지
주식투자를 막 시작한 분들이라면, “어디서부터 공부해야 할까?”라는 고민을 많이 하실 거예요. 단순히 주식을 산다, 판다라는 개념을 넘어서, 거래소 구조와 거래시간, 그리고 가격이 움직이는 기본 규칙을 이해해야 앞으로 공부가 훨씬 쉬워집니다. 오늘은 초보 투자자분들을 위해 꼭 필요한 기초 지식을 차근차근 정리해보겠습니다.
1. 한국의 주식거래소 KRX와 NXT
한국의 모든 주식은 KRX(한국거래소)라는 단일 거래소에서 거래돼요. 하지만 KRX 안에서도 시장이 세분화되어 있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 코스피(KOSPI): 삼성전자, 현대차 같은 대기업이 상장된 대표 시장
- 코스닥(KOSDAQ): IT·바이오·게임 등 성장성이 큰 중소기업 중심 시장
- 코넥스(KONEX): 초기 단계의 스타트업이나 중소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는 시장
이렇게 나뉘어 있기 때문에 투자자는 자신의 투자 성향에 맞는 시장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안정성을 원하면 코스피, 성장 가능성을 본다면 코스닥, 더 모험적인 투자를 원하면 코넥스도 고려할 수 있죠.
NXT는 새로운 시장이 아니다
여기서 많은 분들이 헷갈리는 게 바로 NXT입니다. “코스피, 코스닥, 코넥스 말고 NXT라는 시장이 또 있나?”라고 생각하기 쉬운데요, 사실 NXT는 시장이 아니라 KRX의 차세대 전산 시스템입니다. 쉽게 말해, 모든 주문과 체결, 결제를 빠르고 안정적으로 처리하는 또 다른 플랫폼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KRX: 주식 거래가 이뤄지는 공식 시장
- NXT: 실제 거래가 원활하게 돌아가도록 뒷단에서 움직이는 정교한 전산 시스템
2. 해외 거래소: NYSE와 나스닥
국내 시장 이해 후, 해외 주식 투자도 고려하신다면 대표적인 미국 거래소를 알아두면 좋아요.
- 뉴욕증권거래소(NYSE):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거래소. 코카콜라, IBM, JP모건 같은 블루칩 기업들이 상장돼 있어 안정성을 중시하는 투자자들이 선호합니다.
- 나스닥(NASDAQ): 전자식 거래 시스템으로 출발한 비교적 젊은 거래소. 애플, 구글, 아마존, 테슬라 같은 혁신 기업들이 모여 있어 성장주 투자자들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정리하면, NYSE는 안정성 중심, 나스닥은 성장성 중심이라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다만 지금은 두 시장 모두 전 세계 투자자들이 주목하기 때문에 단순히 “전통 vs 혁신”으로만 구분되지는 않아요.
3. 주식 거래시간과 동시호가
주식은 아무 때나 사고팔 수 있는 게 아니라, 정해진 거래 시간이 있습니다.
- 정규장: 오전 9시 ~ 오후 3시 30분 (가장 활발한 거래)
- 장전 시간외: 오전 8시 30분 ~ 8시 40분
- 장후 시간외: 오후 3시 40분 ~ 6시
여기서 초보 투자자들이 꼭 알아야 할 개념이 동시호가예요. 동시호가는 장 시작 전(8시 30분~9시)과 장 마감 직전(3시 20분~3시 30분)에 모든 주문을 모아서 한 번에 체결하는 방식입니다.
왜 이렇게 하냐면, 장이 열리자마자 혹은 닫히기 직전에 거래가 몰리면 가격이 급등락할 수 있는데, 동시호가를 통해 공정하고 안정적인 시가와 종가를 정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NXT에서 바뀐 점: 중간가 호가
NXT가 도입되면서 투자자들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변화 중 하나가 중간가 호가 제도예요. 기존에는 주가가 정해진 틱 단위로만 움직였기 때문에, 틱 단위 사이의 가격으로 주문을 넣을 수 없었거든요.
예시:
매수 최우선 호가: 10,000원
매도 최우선 호가: 10,050원
👉 기존 제도: 10,025원으로는 주문 불가
👉 NXT 도입 후: 10,025원으로도 주문 가능
이 제도를 통해 호가 단위가 세분화돼서 매수-매도 차이(스프레드)가 줄어들고, 거래 유동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어요. 게다가 해외 주요 거래소와도 제도가 비슷해져서 글로벌 투자 환경과 연결하기도 수월합니다.
4. 틱(Tick) 단위란?
주식 가격은 아무 단위로나 움직이지 않아요. 정해진 최소 변동 단위가 있는데, 이것을 틱(Tick) 단위라고 합니다.
가격 구간별 최소 호가 단위(현재 KRX 기준)
주가 구간 | 최소 호가 단위 |
---|---|
2,000원 미만 | 1원 |
2,000원 이상 ~ 5,000원 미만 | 5원 |
5,000원 이상 ~ 20,000원 미만 | 10원 |
20,000원 이상 ~ 50,000원 미만 | 50원 |
50,000원 이상 ~ 200,000원 미만 | 100원 |
200,000원 이상 ~ 500,000원 미만 | 500원 |
500,000원 이상 | 1,000원 |
예: 9,950원짜리 주식은 10원 단위라서 9,960원으로도 움직일 수 있습니다. 반대로 19,990원 → 20,000원처럼 구간을 넘는 경우엔 다음 구간의 호가단위(50원 등)가 적용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틱 단위를 이해하면 호가창을 볼 때 내가 낸 주문이 어떻게 체결될지 예측하기 쉬워집니다. 특히 단타·초단타 전략을 쓰려면 반드시 숙지해야 할 기본입니다.
5. 정리하며
오늘은 주식투자의 첫걸음으로 거래소 구조(KRX, NXT), 해외 거래소 특징, 거래시간, 동시호가, 틱 단위 같은 기본 개념들을 살펴봤어요. 이건 정말 기본 중의 기본이지만, 주식 투자에서는 꼭 알고 있어야 하는 정보예요. 저도 처음 주식 시작했을 때 동시호가 개념을 잘 몰라서, 장 끝날 때쯤 “어? 왜 내 주문이 안 체결되지?” 하면서 잠깐 멘붕이 왔던 기억이 있어요. 😅
처음에는 조금 복잡하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거래소 구조나 동시호가, 틱 단위 같은 기본 개념을 이해하면 매수·매도 전략을 세우거나 호가창을 읽는 게 훨씬 편해져요. 투자하면서 “아, 이거 아까 블로그에서 본 거네!” 하고 연결될 때마다 자신감도 조금씩 붙거든요.
오늘 배운 내용은 가볍게 참고하면서, 한 단계씩 천천히 익혀보세요. 너무 부담 갖지 말고, 조금씩 몸으로 체득해 나가는 게 가장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