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페이’ 시대! 간편지급 서비스 일평균 1조원 돌파와 초보 투자 활용법
요즘 편의점, 카페, 배달 앱에서 스마트폰만 꺼내면 결제가 끝나는 경험, 많이들 하시죠? 바로 그 ‘페이 결제’ 이야기입니다.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삼성페이, Apple Pay 등 간편지급 서비스가 올해 상반기 드디어 일평균 이용금액 1조원을 넘어섰습니다. 한국은행 발표에 따르면 이용금액은 1조464억 원, 이용건수는 3378만 건으로 전년 대비 두 자리 수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초보 투자자 관점에서 간편지급 서비스 현황, 제공사별 특징, 생활 활용 사례, 그리고 페이를 활용한 재무·투자 습관까지 쉽게 풀어드릴게요.
간편지급 서비스, 생활 속 필수 서비스로 자리잡다
간편지급 서비스는 신용카드 정보를 휴대전화에 저장해두고, 지문·얼굴인식 같은 간편 인증으로 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한은에서는 공식적으로 ‘간편지급’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이용금액은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 2023년 상반기: 8461억 원
- 2023년 하반기: 9065억 원
- 2024년 상반기: 9392억 원
- 2024년 하반기: 9744억 원
- 2025년 상반기: 1조464억 원 → 처음으로 🔴1조원 돌파
제공사별 점유율과 특징
구분 | 비중 | 특징 |
---|---|---|
전자금융업자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등) | 55.1% | 온라인 쇼핑, 송금, 포인트 적립 강점 |
휴대폰 제조사 (삼성페이, Apple Pay) | 23.9% | 오프라인 결제, NFC 기반 편리성 |
금융회사 (은행, 카드사) | 21% | 신뢰성과 전통 금융서비스, 점차 비중 감소 |
생활 속 페이 활용, 이렇게 해보세요
결제만 하는 도구로 생각하기엔 페이가 너무 아깝습니다. 우리 생활 속에서 조금만 신경 써도, 편리함과 절약, 투자 경험까지 얻을 수 있어요.
- 아파트 관리비나 공과금 납부: 전자고지결제 서비스로 간편하게
- 온라인 쇼핑, 배달, 카페, 편의점 결제: 포인트 적립과 편리함 동시에
- 선물하기, 송금: 친구·가족에게 빠르고 간편하게 자금 이동
초보 투자자를 위한 페이 활용법
단순 결제를 넘어서, 생활 속에서 페이를 활용해 투자와 재무 관리를 시작할 수 있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네이버페이·카카오페이 사용 내역을 월별/카테고리별로 확인. 예: 배달 앱 결제 월 15만 원 → 🔴불필요한 지출 줄이기.
결제 시 포인트 적립 → 소액 투자에 활용 가능. 예: 네이버페이 포인트 10만 원 → 🔴ETF 소액 투자.
카카오페이 투자처럼 하루 커피 값 5000원 정도를 자동 투자. 월 15만 원 → 🔴ETF 소액 투자.
내가 많이 쓰는 서비스/카테고리 확인 → 관련 기업 주식/ETF 관심. 예: 배달 앱 많이 사용 → 🔴배달 관련 기업 투자.
일정 금액 자동 충전 → 자동 송금/저축/투자. 예: 하루 5000원 자동 충전 → 월 15만 원 → 자동 ETF 매수.
결론적으로, 페이는 단순 결제를 넘어서 재무 관리 습관과 소액 투자 경험을 쌓는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생활 속 작은 습관이 투자 공부로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는 시대입니다.
마무리
작은 습관 하나가 재테크의 시작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부터 결제와 송금을 조금만 신경 써도, 투자 공부와 재무 습관이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페이를 단순 결제 수단이 아니라, 생활 속 소액 투자와 재무 관리 도구로 활용해보는 것이 앞으로의 재테크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이 글은 투자 조언이 아니며, 정보 제공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